사용자의 정보를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해서 써야하는 경우가 생겼다.
쿠키만 사용해보고 로컬 스토리지는 개념으로 밖에 몰랐는데 이번 기회에 사용해봤다.
주의 사항, 로컬 스토리지는 자바스크립트로만 생성 가능하다?, C#에서는 안되는 것 같다. (내가 찾은 바로는..)
아래는 remember me 구현하는 예시
// step 1. 로컬 스토리지 저장 함수 생성
localStorage.setItem('key 이름', 'value 내용');
// 로컬스토리지 저장
function saveInfo(Value) {
localStorage.setItem('사용 할 Key', Value);
}
// step 2. 로컬 스토리지 사용하는 함수 생성
// 로컬스토리지 -> 이메일 필드 사용할 때,
function fillUserLoginInfo() {
var savedEmail = localStorage.getItem('userLoginEmail');
if (savedEmail) {
document.getElementById('이메일 저장할 곳').value = savedEmail;
document.getElementById('remember-me').checked = true;
}
}
// step 3. 로컬 스토리지 제거하는 함수
localStorage.removeItem('key이름')
document.getElementById('account').addEventListener('submit', function (event) {
const emailInput = document.getElementById('Input_Email');
const rememberMeCheckbox = document.getElementById('remember-me');
// 체크 -> 저장
if (rememberMeCheckbox.checked) {
saveUserLoginInfo(emailInput.value);
} else {
// 체크X -> 제거
localStorage.removeItem('userLoginEmail');
}
});
자세한 localStorage 사용 방법,
clear(), getItem(), removeItem(), setItem() 이렇게만 필요할 때 찾아보면 될 것 같다.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API/Window/localStorage
'복습용 기술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laim에 강제로 데이터 넣기 (0) | 2024.01.05 |
---|---|
Claim 활용하는 방법 (0) | 2024.01.03 |
c# 도메인 가져오기, Custom Validation 사용방법 (1) | 2023.12.18 |
230410 _ spotify api 사용과 tictok에서 빌보드 올라간 곡 체크 (0) | 2023.04.10 |
빌보드 크롤링 _ 레이블 수정 과정 (0) | 2023.04.06 |